교과목 소개

건축학과 대학원, 전공선택, M3204.001300 001

건축공사의 신기술, 공법 및 자재의 개발과 초고층 건축시공의 현장사례를 소개하고 건축공사의 과학화와 자동화를 위한 가치공학, 씨뮬레이션, 건설전물가시스템, 전설로보틱스, 건설경영정보시스템, 건설통합시스템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The class introduces new technology, way of construction, material development, and on-the-spot cases of high-rise construction, gives lectures on value engineering, simulations, construction expert systems, construction robotics, construction management and information systems, and construction integration systems for scientization and automation of building construction.

건축학과 대학원, 전공선택, 401.649

건축물의 cost에 대해 building economics와 life cycle cost 개념에 입각하여 quality, schedule 등과 연계, 적절한 cost planning을 통한 building cost control 방법을 연구하는 과목으로, 건축물의 시획·설계·시공·유지관리 등 전 과정에 걸쳐 합리적인 cost 계획방법을 알아보고, 실제 사례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학습을 한다.

A study of the balanced cost distribution method for the building elements and the whole building from the planning to the design, focused on the design methods within a proposed budget without influencing the building performance by def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otal cost, and the scale and the quality of the space.

건축학과 학사, 전공필수, 4013.307

건축물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이르는 전반적인 건축생산과정을 설명하고, 건축물의 품질과 성능 확보를 위한 시방기준을 고찰하며, 건축공사비의 산정과 주요 공종에 대한 시공방법 및 절차에 대하여 강의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overall construction processes from design through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The course examines specifications for performance and higher quality of buildings, and explains the construction methods of major trades and cost estimating skills.

건축학과 학사, 전공필수, M1498.014000

건축시공 및 건설관리에 대한 입문 교과로서 전반적인 건축 생산과정을 엔지니어링 측면과 메니지먼트 측면에서 설명한다. 시공강의의 해당 공종은 공조 및 마감 공종으로 하며 건설관리는 건설계약, 공정관리 및 적산을 포함한다.

As an introduction course to Building Construction Engineering & Management, this course deals with overall building production process in terms of engineering and management perspective. Construction engineering parts covers building skeleton and finish work, while construction management includes contracts, scheduling and cost estimation.

건축학과 대학원, 전공선택, 401.661

건축공사의 신기술, 공법 및 자재의 개발과 초고층 건축시공의 현장사례를 소개하고 건축공사의 과학화와 자동화를 위한 가치공학, 씨뮬레이션, 건설전물가시스템, 전설로보틱스, 건설경영정보시스템, 건설통합시스템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The class introduces new technology, way of construction, material development, and on-the-spot cases of high-rise construction, gives lectures on value engineering, simulations, construction expert systems, construction robotics, construction management and information systems, and construction integration systems for scientization and automation of building construction.

공학전문대학원 응용공학전공, 전공필수, M2866.001500

본 과목은 공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연구능력을 향상시켜 개별 프로젝트 관련 연구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전공 필수 프로젝트 지도과목 중 두 번째 과목이다. 학생들은 응용공학프로젝트 연구 I에서 결정한 연구프로젝트의 목표 및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 분야 및 타 분야에서 제시된 여러 문제 해결 방법론들을 토대로 새로운 문제 해결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개별 프로젝트 예제에 적용한다. 지도교수 및 실적심사위원들은 학생이 제시한 문제 해결 방법론 및 가정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 학생의 연구 진척 상황을 중간 심사와 학기말 심사를 통하여 평가한다.

This course is the second course in series of project research courses in the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Practice. In this course, students continue with their research project identified and defined in the Project Research in Engineering Practice I. Based on problem solving methodologies published in many different disciplines, students propose a new problem solving methodology, and to prove its validity, apply it on individual project example. Faculty advisor examines validity of problem solving methodology and underlying assumptions proposed by the students, and evaluates the progress through mid-term review and the end-of-semester review.

공학전문대학원 응용공학전공, 전공필수, M2866.001400

본 과목은 공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이 개별 프로젝트 관련 연구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연구 수행에 관련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전공 필수 프로젝트 지도과목 중 첫 번째 과목이다. 학생들은 관련 분야의 논문, 최신 기술에 대한 동향 등 여러 종류의 문헌 검토를 통하여 관련 분야에서 존재하는 연구 갭들을 파악하고 이 중 관심 있는 주제를 선정한 후 전체 연구 프로젝트의 목표 및 문제를 설정한다. 지도교수는 관련 문헌 및 분야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연구토픽에 대한 지식들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며 학생들의 개별 프로젝트 정의 형성과정을 지도하고 검토한다.

This course is the first course in series of project research courses in the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Practice.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to conduct independent research relating to their individual project under the supervision of faculty advisor who is expert in the related field. Students will identify research gaps in their field of research through review of academic literature and latest technology trends, then identify individual topic of interest to define the objective and problem statements for their research. Faculty advisor guide students through individual project definition formation process through suggestion of relevant academic and technical literature and providing direction regarding various research topics in the relevant research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