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rise buildings have recently increased over the residential, commercial and office facilities, thus an understanding of construction cost for high-rise building projects has been a fundamental issue due to enormous construction cost as well as unpredictable market conditions and fluctuations in the rate of inflation by long-term construction periods of high-rise projects. Especially, recent violent fluctuations of construction material prices add to problems in construction cost forecasting. This research, therefore, develops a time-series model with the Box-Jenkins methodologies and material prices time-series data in Korea in order to forecast future trends of unit prices of required materials.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pproaches are also used to analyze injection time of construction resources and to conduct quantity takeoff so that total material price can be forecasted. Comparative analysis of Predictability of tentative ARIMA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models was conducted to determine optimal time-series model for forecasting future price trends. Proposed BIM based time series forecasting model can help to deal with sudden changes in economic conditions by estimating future material prices.
최근 도심지 고밀화에 따른 공간의 효율적 이용이 요구됨에 따라 대규모의 고층 사무공간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주거, 상업, 문화 등 다양한 기능을 밀접하게 연관시킨 고층 복합시설도 점차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대형 건설, 프로젝트는 긴 공사기간이 소요되어 공사비 예측이 쉽지 않으며,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기 때문에 비용 예측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극심한 경제변화에 따른 건설자재가격의 변동은 자재비를 포함한 공사비 예측을 어렵게 만드는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자재단가 시계열자료를 활용, 미래의 자재단가 예측을 위한 시계열모델을 구축하고 복잡한 모델 프로세스를 간소화하는 자재별 최적 예측모델 도출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의 접근을 통해 자재의 투입시기 및 투입물량을 분석, 시계열모델을 통해 예측한 자재단가 예측 값과 조합함으로써 총 자재비를 포함하는 BIM기반 공사원가 예측 시계열모델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시계열모델의 하나인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ARIMA)모델에 대한 예측력 비교를 통해 자재단가 예측을 위한 적합모델을 도출하였다. BIM기반의 원가예측 시계열모델은 자재의 투입시기별 자재단가 변동치를 예측함으로써 급변하는 경제 환경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