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0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지구 온난화를 1.5℃로 제한할 것을 권고하고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량 제로를 달성할 것을 제안했다. 이후 많은 국가들이 순배출량 제로를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우리 정부는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18년 대비 40%로 설정했다. 국내 건설사들은 이를 위해 내부적으로 탄소 배출량을 산정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건설업 가치사슬 내 Scope 3와 관련된 탄소배출량 산정 및 보고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분석하여 Scope 3 탄소 감축 사례를 파악하고, 현재 제시되고 있는 Scope 3 범주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에서 제공하는 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1) 배출량, 2) 데이터의 연관성, 3) 계산의 용이성 및 신뢰성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세 가지 기준에 따라 Scope 3 카테고리별 점수를 산출하고, 카테고리 중 총점이 가장 높은 5개 카테고리를 추천하는 데 사용하였다. 이 권장 범주를 활용하면 건설 프로젝트 가치사슬에서 90% 이상의 탄소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을 중심으로 건설업의 Scope 3 배출량 감축 전략에 대한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세 가지 평가를 통해 선정된 Scope 3 범주별 가이드라인은 환경성과를 평가하는 기업과 임팩트 투자자에게 기존 방식에 비해 보다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