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양한 사회∙환경적 변화 및 수요를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정부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IoT, AI, 딥러닝, 메타버스 등의 첨단기술을 주택에 접목하여 국민들의 주거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미래 유망기술 개발을 통해 국가의 산업 및 기술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지능형주택 연구개발사업 기획임.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주택을 향후 주거/주택 분야의 핵심기술들이 반영된 미래형 주택으로 정의하며, 기획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음. 1) 주거생활에 대한 국민의 다양한 니즈(쾌적성, 편의성, 안전성) 충족 기술 개발 기획 2) 지능형 주택 기술 개발 로드맵 마련 3) 예비타당성조사를 대비한 사업의 정책적∙기술적∙경제적 타당성 검토. 본 연구는 메가트렌드와 주택관련 이슈, 주택 미래상을 분석하여 기술 개발의 5개 중점 분야를 설정하고, 관련 분야 전문가의 기술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지능형 주택 로드맵과 세부기술을 기획함. 중점분야는 다음과 같음. 1) 에너지 절감 (저에너지→제로에너지→플러스에너지) : 기존 저에너지/제로에너지 수준에서 향후 플러스 에너지 주택을 실현하고 에너지관리 최적화 기술을 개발하여 공동주택의 관리비를 절감하는 기술 2) 주거성능 (제한적 주거환경 개선→거주자 체감형 주거환경 개선) : 층간소음, 미세먼지 등 특정 문제 중심의 주거환경을 넘어 거주자가 체감할 수 있는 통합적인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기술개발 3) 적시케어 (일부 고령자 대상→노약자(어린이 표함)대상) : 고령자 대상 헬스케어 중심에서 어린이를 포함한 노약자로 대상을 확대하여 건강과 안전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개발 4) 맞춤형 건설 (대량공급을 위한 공급자 중심 신공법→수요자 맞춤형 신공법) : 모듈러, 3D프린팅 건설, 장수명 주택 등 공급자 중심의 공법에서 수요자 니즈에 대응할 수 있는 빨리 짓고 오래 쓰고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실현하는 기술개발 5) 허브형 주민서비스 (공급 중심의 도시 관리→주택&주민 고려 밀착형 관리) : 기존 도시관리차원에서 운영하던 수준의 공공 서비스 플랫폼 기술에서 거주자 케어 및 외부 공공 서비스 연계성을 확대하여 밀착형 주민 생활 서비스 중심으로 기술개발.